[토요와이드] 오늘 한미정상회담…"코로나19 협력 합의"<br /><br /><br />오늘 한미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은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해 백신 대량 생산을 촉진하기로 합의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오늘 한미 복지부 장관이 참석하는 백신 협약식이 주목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와 함께 코로나 상황도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김경우 인제대 서울백병원 교수 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한미 정상이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백신 생산 확대를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. 미국이 가진 백신 기술과 한국의 바이오 생산 능력을 결합해 백신 생산을 촉진하겠다는 뜻인데요. 어떤 의미가 있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기대가 컸던 '백신 스와프' 문제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지만, 바이든 대통령은 한국 국군장병 55만 명에 대해 백신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입니다. 어떤 백신이 한국군에 지원되느냐도 관건이 되지 않을까요?<br /><br /> 양국의 백신 관련 주목되는 일정은 한미 복지부 장관이 참석하는 백신 협약식이죠. 앞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모더나 백신의 위탁생산 계약을 할 것이라는 얘기가 꾸준히 나왔는데, 오늘 백신 협정식에서 구체화 될 거란 전망입니다. 집단면역 시기를 앞당기는 데 도움이 되겠죠?<br /><br /> 현재 우리 정부는 교차 접종을 허용하지 않고 있는데요. 앞으로 대략 400명에서 500명 안팎을 대상으로 교차 접종 임상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. 위탁생산이 이르면 8월부터 생산될 거란 얘기도 들리는데, 그럼 교차 접종도 가능해질까요?<br /><br /> 국내 코로나19가 일상 곳곳으로 파고들면서 전국적으로 확진자가 잇따르고 있습니다. 신규 확진자는 전날보다 100명 이상 늘면서 하루 만에 다시 600명대로 올라섰는데요. 좀처럼 확산세가 줄지 않는 이유, 어떻게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정부는 현행 거리두기 및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조치를 3주 더 연장하기로 했습니다. 다만 '1주간 일 평균 확진자 수 800명'을 기준으로 단계 격상이나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 제한 강화 검토하겠다고 밝혔는데요. 800명대에 조치 취하기엔 너무 늦지 않겠냐는 지적도 나옵니다?<br /><br /> 75세 이상 어르신에 대한 백신 1차 접종이 오늘부터 재개된 가운데 백신 1차 접종자가 어제 하루 1만 명 넘게 늘었습니다.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 접종도 오는 27일부터 정상화 되는데요. 현재 예약률은 55.6%입니다. 이 정도면 순조롭다고 볼 수 있나요? 아니면 좀 더딘 편인가요?<br /><br /> 화이자가 식약처에 백신 냉장 보관 기간을 기존 5일에서 최대 31일 연장하는 허가 변경을 신청했습니다. 허가기 변경이 되면 유통과 보관에 탄력성이 커질 것으로 보이는데요. 보관 방법, 기간 어떻게 바뀌게 된 걸까요?<br /><br /> 이와 함께 16살 이상으로 허가된 투여 연령을 12~15살로 낮추기 위한 사전검토도 함께 신청했습니다. 기존 임상 시험 결과로 볼 때 확대 가능성 있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